뇌경색 약물치료와 종류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뇌경색 증상과 치료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드렸는데요. 오늘은 뇌경색 약물치료와 약물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뇌경색 약물치료

[뇌경색 약물종류]

혈소판은 피를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 혈액 성분입니다. 출혈이 발생하면 혈소판이 출혈부위로 모여 피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혈소판이 혈관안에 응집되면 핏덩어리 즉 혈전이 생성되어 혈관을 막게 되고 이 혈관이 뇌혈관인 경우 우리는 이를 뇌경색이라고 합니다. 항혈소판제는 이 과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뇌경색 뿐만 아니라 심근경색, 협심증 환자들에게 사용하게 됩니다. 항혈소판제로 분류되는 약물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

1) 아스피린(Aspirin), Disgren(triflusal), indobufen – COX 억제제

: 혈소판의 응집을 촉진하는 트롬복산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혈전예방을 위한 1차 약제로 사용된다.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질환에도 사용된다.

-주의사항 : 위장장애, 신기능과 간기능 저하된 사람에게 주의필요함

2) cilostazol(ex. pletal) – PDE 억제제

: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물질의 수치를 증가시켜 혈전생성을 억제합니다. 이 물질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도 하여 말초 폐쇄성 혈관질환에도 이 약물이 사용됩니다. 부작용을 두통을 유발합니다.

-주의사항 : 심부전 환자에게 금기, 신기능/간기능 저하된 사람에게 주의요함

3) clopidogrel(ex. Plavix), Ticagrelor(ex. brillinta), Ticlopidine(ex. clid)

: clopidogrel은 주로 aspirin 과 병용하여 투여하며 clopidogrel이 금기인경우 ticagrelor, ticlopidine을 투여하게 됩니다.

4) 압식시맙(클로티냅), 티로피반(아그라스타트)

5) 사포그릴레이트(안플라그)

2. 항응고제

항응고제가 과용량으로 투여될 경우 뇌출혈이 생길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항응고제 투여할때는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하여 혈액 응고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유지해야합니다. 항응고제는 주사 제제인 헤파린과 경구용 제제인 쿠마딘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헤파린을 사용하고, 3~4일 쿠마딘과 병용하다가 점차 헤파린을 중단합니다. 경구용 쿠마딘은 대사 작용으로 인해 약효가 잘 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비타민 K는 항응고작용을 저해하기 때문에 비타민 K가 많이 함유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ex. 쑥갓, 쑥, 시금치, 부추, 미역, 양배추 등등]

1) 헤파린 – 주사제

2) 쿠마딘(와파린) – 경구제

3. NOAC (New Oral Anticoagulant)

– Rivaroxaban (자렐토), Apixaban(엘리퀴스), Dabigatran(프라닥사), Edoxaban(릭시아나)


와파린, 헤파린은 주기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혈액응고 수치를 모니터링 해야하고 비타민 K가 함유된 음식을 먹었을 때 약 농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약 농도를 유지하는게 까다롭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약이 바로 NOAC 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 입니다.

뇌경색과 함께 심방세동(a-fib), 정맥혈전증, 폐색전증인 경우 가장 흔하게 쓰이는 약물입니다.
단점이 거의 없는 약물이지만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받는 환자, 인공판막을 가진 환자들에게는 금기입니다.

하루 한번이나 두번의 약 복용으로 일정수준의 혈액응고 수치를 유지하며 출혈의 위험성이 비교적 적다는 것이 이 약의 장점입니다. 또한 반감기가 짧아 수술이나 시술을 앞둔 환자들이 1~2정도만 약을 중단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반대로 말하자만 약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에 약을 빼놓지 않고 먹어야 합니다.

[뇌경색 약물치료]

앞서 뇌경색에 사용되는 약물종류와 적응증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렸는데요. 위의 내용들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니 어떤약을 사용할지에 대해서는 주치의와 상의후에 결정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 주의사항

가장 대표적인 약의 부작용은 출혈의 위험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술이나 간단한 시술시에도 피가 잘 안멈출 수 있으니 의료진에게 먼저 약 복용여부에 대해서 알려주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1) 멍이 잘 생길 수 있으며 상처부위의 출혈이 잘 안멈출 수 있습니다,
2) 치과 진료 시, 수술이나 시술시에 약 복용여부를 의료진에게 전달해주세요
3) 소변에 피가 섞여나오면 주치의에게 알리세요.
4) 대변이 붉은색이거나 검은변을 볼 경우 위장관 출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시 주치의에게 알리세요.
5) 스테로이드와 함께 복용 시에 위장관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참조 : https://www.amc.seoul.kr/asan/depts/heart/K/bbsDetail.do?menuId=4634&contentId=264907

뇌경색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알고싶다면 ?

https://gardenblog.co.kr/%eb%87%8c%ec%a1%b8%ec%a4%91-%eb%87%8c%ea%b2%bd%ec%83%89-%ec%a0%84%ec%a1%b0%ec%a6%9d%ec%83%81-%ec%b9%98%eb%a3%8c%eb%b0%a9%eb%b2%95/#more-74

Leave a Comment